갤럽 강점검사 vs 태니지먼트 강점검사 vs 버크만 진단,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기업교육 현장에서는 개인과 팀의 강점을 발견하고, 이를 조직 성과로 연결하기 위해 다양한 심리, 강점 진단 도구를 활용합니다
가장 많이 활용되는 갤럽 강점검사(CliftonStrengths), 태니지먼트 강점검사, 버크만 검사(Birkman Method) 특징과 차이를 비교해보겠습니다
갤럽, 태니지먼트, 버크만 검사는 모두 자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훌륭한 도구로, 각기 다른 접근 방식을 통해 개인과 조직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1. 갤럽 강점검사 (CliftonStrengths)
갤럽의 강점검사는 개인의 고유한 재능(사고, 감정, 행동)의 자연스러운 패턴을 측정하고 이를 34가지 클리프턴스트렝스 테마로 분류하여 이 중 가장 강력하게 발현되는 상위 테마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4가지 영역(실행력, 영향력, 관계 구축, 전략적 사고)으로 분류되는 테마는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사람들의 재능을 연구하고 분류한 결과입니다
이 검사의 핵심 철학은 타고난 재능을 인식하고 이를 개발하고 활용하여 강점으로 발전시킬 때 개인과 조직의 성과가 극대화된다는 것입니다
2. 태니지먼트 강점검사
태니지먼트는 한국에서 개발된 강점검사로, 긍정심리학과 메러디스 벨빈의 팀 역할, 퀸의 관리자 역할 모델 등의 이론을 기반으로 합니다
태니지먼트 검사에서는 본능적으로 나를 움직이는 강한 끌림 ‘욕구(Drive)’에 기반한 상위 재능과 팀이나 조직에서 필요한 강점역할(8가지), 비즈니스에서 반드시 요구되는 기본 소양인 태도를 측정하며 강점을 활용한 성과창출, 역할 추천, 보완점을 제시합니다
한국인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되었으며, 개인과 조직 관점 모두에서 해석이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3. 버크만 진단 (Birkman Method)
버크만 진단은 1950년대 미국의 로저 버크만 박사가 개발한 검사로 흥미, 행동, 욕구, 스트레스 행동까지 측정하여 개인의 성격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버크만 메소드는 개인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관점, 행동,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각 개인에게 적합한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는 유용한 방법,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와 상호작용의 큰 그림을 보는 데 도움을 줍니다.
4. 갤럽 vs 태니지먼트 vs 버크만 비교
구분 | 갤럽 강점검사 | 태니지먼트 강점검사 | 버크만 검사 |
측정 요소 | 34가지 재능 테마 | 24가지 재능, 강점 역할, 태도 | 흥미(관심사), 평소 행동(강점), 욕구, 스트레스 행동 |
소요 시간 | 30분(177문항) | 45분 (최대 208문항) | 40분(298문항) |
결과 | 상위 5개 또는 34개 전체 재능
테마의 순위와 상세 설명 | 6가지 상위 재능, 강점 역할 그래프, 12가지 태도 그래프, 추천 직무 및 리더십 스타일 등 강점 활용 가이드 | 흥미, 평소행동, 욕구, 스트레스 행동의 버크만 맵과 흥미분야, 강점, 직업, 조직 지향점 설명 |
대표
리포트 | CliftonStrengths Top 5 Report
CliftonStrengths 34 | 강점리포트
리더십리포트
커리어리포트 | 베이직리포트
시그니처리포트
그룹리포트 |
가격 | 리포트 유형별
32000원~75000원 | 리포트 유형별
39600원~49500원 | 리포트 유형별
16000원~26000원 |
활용 | 개인/리더의 강점 개발, 강점
기반 조직문화 구축 | 개인과 팀의 강점 개발
팀빌딩, 리더십 개발 | 대인관계 이해 및 갈등관리
팀빌딩, 리더십 개발 |
특징 및
장점 | 긍정적 자기 인식
개인과 팀의 몰입 향상
전 세계 약 3,580만 명 사용한
글로벌 진단 | 실무 중심, 팀 단위 적용
국내 기업 환경에 맞춘
조직 측면 해석
재능과 역할을 연결하여
구체적 가이드 제공
국내 600개 이상 기업고객
진단 사용 | 개인에 대한 심층적 정보 제공
행동의 이면(욕구,스트레스)를 파악하여 갈등의 원인을 예측하고
관리하는데 유용
전 세계 70개국에서 사용한 글로벌 진단 |
5. 갤럽 vs 태니지먼트 vs 버크만 무엇을 선택할까요?
개인 강점개발에 집중하려는 경우
갤럽 강점검사가 적합합니다
강점에만 집중하는 긍정적 접근과 높은 신뢰성, 개인 고유성 강조가 장점입니다
팀과 조직의 팀빌딩이 목적인 경우
태니지먼트 검사를 추천합니다
팀과 조직의 강점과 보완 점을 균형 있게 제시하며 팀워크에 필요한 최적의 역할과 활용 가이드를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
입체적인 자기이해와 대인관계 관리가 목적인 경우
버크만 검사를 권장합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욕구와 커뮤니케이션, 일하는 방식 등 심리특성을 통합 분석하여 포괄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세 가지 검사는 각각 고유한 특성과 장점을 가지고 있어 목적과 상황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리딩에지컨설팅에서는 조직의 니즈, 예산, 목적, 활용 범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검사 프로그램을 추천해드립니다
*리딩에지컨설팅에서는 갤럽, 태니지먼트, 버크만 검사 자격을 보유한 전문가가 진행합니다
자세한 프로그램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하기의 진단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클릭해 주세요 


